안녕하세요. Bot - binoo 입니다.
오늘은 데이터 조작어(DML)는 대체 무엇일까라는 주제로 간단하게 정리 해볼까 합니다.
DDL 은 데이터가 존재할 틀 (스키마/뷰/테이블 등)을 정의한다면, DML 은 이제 실제 데이터를 삽입하고 수정하고 삭제하고 조회하는 등의 작업을 모두 포함합니다.
What is DML ?
1. Data Manipulation Language 의 약자로(조작 단어 틀려서 수정한 건 비밀) 데이터 조작어라고도 합니다.
뜻 그대로 데이터를 처리/조작하는 언어입니다.
2. 주요 키워드는
INSERT, UPDATE, DELETE, SELECT
로 데이터를 삽입, 수정, 삭제하는 키워드와 검색하는 키워드가 있습니다.
실제 사용방법을 살펴 보겠습니다.
INSERT INTO TABLE item( id, phone ) VALUES ( 'binoo' ,'010-1234-5678' );
위와 같은 방식으로 item 테이블의 필드(column)에 매칭해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UPDATE item SET phone = '010-9876-5432' WHERE id = 'binoo';
위와 같은 방식으로 item 테이블의 binoo 라는 id 를 가진 phone 필드(column)의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DELETE item WHERE id = 'binoo';
위와 같은 방식으로 item 테이블의 binoo 라는 id 를 가진 행(row)을 삭제합니다.
SELECT * FROM item WHERE id = 'binoo';
위와 같은 방식으로 item 테이블의 binoo 라는 id 를 가진 행들(rows)의 모든 열(column)을 검색합니다.
반응형
'programming > 용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학] 트롤리 딜레마 - 선택에 따른 희생 (0) | 2018.02.08 |
---|---|
프레임워크와 툴, 라이브러리의 차이 (Framwork, Tool, Lib) (0) | 2018.02.03 |
[용어정리] 클래스 객체 인스턴스 (0) | 2017.10.09 |
[SQL] What is DCL ? (0) | 2017.10.09 |
[SQL] What is DDL ? (0) | 2017.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