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tch

[용어 정리] 일괄 처리 VS 실시간 처리 어떠한 사건이 발생해야 할 시점이 있다면 언제가 좋을까? 길을 걷다가 막연히 무언가가 하고 싶을 때가 있다면 이런 사건들은 프로그래밍으로 개발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늘상 해오던 일들이 있을 것이다. 일주일에 한번 우편함을 확인해야 하는 것, 한 달에 한번 고지서를 납부해야 하는 것 등 반드시 이뤄져야 하며 기한 역시 존재한다. 반면에 친구의 생일파티나 동생이 새 식구를 얻게 되는 경우, 우리의 행동은 그에 맞춰 반응하게 된다. 오늘은 프로그래밍에서 어떠한 기능, 또는 사건을 시작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몇가지 구분을 들고자 한다. 1. 일괄 처리 프로그래밍 - 당장 필요하지 않은 처리, 정해진 시각에 알아서 되길 원하는 처리 흔히들 배치 처리라고 이야기 한다. 해당 프로그램의 로직은 정해진 시각에 맞.. 더보기
[Spring boot+Quartz] 배치 샘플 일단 내가 쿼츠를 살펴보게 된 이유는 신규 의뢰 때문이었다. A라는 회사가 고객들의 이체를 관리하는데 이에 대한 수정 업무였다. 애초에 배치가 처음이기도 했고;; 엄청 헤매다가~ 소스에 보이는 쿼츠는 또 뭔가 하다가~ 찾아보게 되었다. 뭐 특징이 어떤 것인지,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지는 최하단에 참고 링크에 가서 보면 거의 명세서 수준으로 자세하게 나와 있을뿐더러 작성하신 개발자님의 다른 글들도 깊이가 있어서... 뭐 그런 류의 글을 작성하는 것은 중복된 것 같아 다른 형태의 글을 써 내려가려 한다. 우선 스프링 부트를 하나 만든다. 1. 주소창에 다음 URL을 친다. https://start.spring.io/ 불러오는 중입니다... 2. 원하는 세팅을 선택하고, 추가 옵션으로 쿼츠(Quartz 스케줄러..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