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2

[Math] 집합의 관계 3 이번에는 진부분집합과 그 갯수, 전체집합과 공집합. 교환법칙, 결합법칙, 분배법칙과 드모르간의 정리를 적어본다. 혹시나 필요에 따라, 앞서 정리본의 내용이 궁금하다면 링크를 확인해 보아도 좋다. [Math] 집합과 원소 (Set & Element) : 원소와 집합, 원소나열법, 조건제시법[Math] 집합의 관계 1 : 벤다이어그램, 합집합, 교집합, 차집합, 여집합[Math] 집합의 관계 2 : 포함관계, 부분집합, 곱집합, 집합족 이미 벤다이어그램을 설명하면서 정리를 해보았던 부분이다.다시 리마인드해보자. 기준이 모호하거나 사건의 정의가 불명확하고 조건이 두루뭉실하면 원하는 집합은 얻을 수 없다.반면,어떤 사건, 기준, 조건만 분명하다면, 우리는 집합이라는 것을 만들수 있다.이러한 집합중 당장 고려할 .. 더보기
[Math] 집합의 관계 2 지난시간 합집합, 교집합, 차집합, 여집합을 정리해두었다.이번시간에는 집합의 포함관계, 부분집합, 곱집합, 집합족을 간단히 정리하고자 한다. 이야기를 풀기전에 예를 하나 들어보자.집합 A = { x|x는 20의 약수 }, B = { 1, 2, 5, 10 } 이라고 하자. 포함관계 (Relative include)- 어떤 집합과 특정 원소간의 관계 - 집합과 집합간의 관계 각 집합을 표현하는 방법에는 원소나열법 혹은 조건제시법을 사용한다.그렇다면 예를 들어 1이 집합 A 의 원소가 될 수 있는지 생각해보자. 만일 될 수 있다면,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 집합 A는 20의 약수이므로, A = { 1, 2, 4, 5, 10, 20 } 이다.원소중에는 1이 있다. 기호로는 이렇게 표현한다. 1이라고 하는 원소.. 더보기
[Math] 집합의 관계 1 앞서 우리는 집합과 원소가 무엇인지 보았다.집합은 어떠한 기준으로 대상을 분명히 알 수 있는 것들의 모임이다. 그리고 그 모임에 참석한 친구들이 원소라고 불린다. 자, 이번에는 집합의 포함관계를 이야기하려고 한다. 이를 가장 쉽게 표현하는 방법은 벤다이어그램이 있다. 벤 다이어그램집합간의 관계를 표현한 다이어그램(그림) 벤다이어그램은 집합간의 관계를 표현한다.원소와 집합. 집합과 집합. 원소의 갯수나 여러가지 이해관계를 설명하는데 좋은 방법이다. 집합은 각 원소와의 관계, 그리고 집합간의 관계가 중요하다. 합집합교집합차집합여집합부분집합과 같음 분배/교환법칙드모르간의 법칙 우선 이번시간에는 합집합, 교집합, 차집합, 여집합을 정리해둔다.가볍게 읽어보고 리마인드하는 시간을 갖자. 예를 들어보자.시골에 어느 ..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