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재미삼아 올렸던 어플리케이션의 반응과 함께 앞으로도 이런 생각없이 막 만든 어플리케이션을 만들어도 괜찮을지에 대해 의사결정을 할 필요가 있었다.
자, 우선 AdMob 이나 Firebase 연동을 한 개발자분들 계실 것이다.
나는 단순히 광고수익을 위해 붙였으며 그다지 수익이 잘 나지도 않는다.
뭐 내가 올린 어플이야 수준이 부족해서 그렇다.
그건 그렇다치고 파이어베이스를 가지고 분석을 해보도록하자.
1. 활성 사용자 수
우선, 활성 사용자 숫자이다. (정말 적다.)
솔직히 새벽 2시반에는 이용자분도 편히 주무셨으면 좋겠다. (;;)
일단, 활성사용자는 어플을 설치하고 그냥 두는 사용자를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다.
설치를 하고, 접속을 하는 사용자를 말한다.
초기 상승에 비해 점진적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이는 활성 사용자수에는 이유가 있다.
1) 주기적인 홍보가 없다.
2) 주기적인 업데이트가 없다.
3) 어플이 일회성/혹은 소모성 컨텐츠인 반면, 사용자들이 컨텐츠의 대부분을 소모해버렸다.
뭐 다른 이유도 있을 수 있지만, 내가 올린 어플은 블로그에 글 올린것 외 달리 홍보를 하지 않았고 업데이트 역시 없었다. 그냥 초기 모습 그대로이다.
2. 사용자 참여 정보
매우 중요한 부분이 될 수 있다.
사용자가 머무는 화면의 클래스가 어디인지,
또 얼마나 내가 만든 어플의 화면을 보고 있는지 나타난다.
처참하다.
사용자들이 26초를 넘기지 못한다.
그래도 10초 이내는 아니라서 다행이다.
한 7초이내라면, 실행하고 싶은 어플 옆에 있어서 우연히 켜진 정도로 심각한 것일테니 말이다.
내가 올린 이 어플은 단순히 브금만 틀어주고 끝이난다.
따라서 소모할 컨텐츠가 지속적이지 못하고 다양하지 못하다.
뭐 그렇지 않다고 해도 컨텐츠자체를 사용자가 모두 소모하는데 걸리는 시간도 1분이 되지 않는다.
때문에 이런 결과도 그럴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3. 앱 수익 / 안정성
좌측, 수익부분은 이제 그 금액이 조금 되는 사람들에게 해당한다.
나는 해당되지 않는다.
이 어플은 천원이 조금 되는 금액을 벌어온다는 느낌이다.
우측 안정성은 솔직히 테스트하고 배포를 하기에 개발자라면 높은 수준의 안정성을 보유해야한다고 생각한다.
비정상 종료 세부정보 보기를 선택하면 크리티컬한 에러를 발생하면서 강제종료되는 어플들에 대한 에러메시지를 제공한다.
특히나, 어떤 기종에서 어떤 오류가 났는지 상세하게 출력되므로 점진적 개발에 큰 도움이 된다.
4. 사용자와 국가/잠재고객
솔직히 나 자신이 세나(세븐나이츠)같은 게임을 녹스앱플레이어를 통해 하기때문에
저기 출력되는 고객 비율을 믿기가 쉽지 않다.
애초에 영문으로 제작하고 영문으로 출시했는데
가장 많은 사용자는 역시 대한민국이다.
'programm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어] 애자일? 그리고 애자일 실패, 짧은 후기 (0) | 2021.04.22 |
---|---|
[정리] meta tag OG 캐시 클리어 정리 (0) | 2020.01.22 |
[GitHub] Error: Repository not found (0) | 2019.08.22 |
[SSL인증방법] SSL 인증 방법 정리 (0) | 2019.08.22 |
[Linux] 전체 용량 확인, Root 디스크 데이터 백업하기 (0) | 2019.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