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gramming/OS (Linux, Windows)

[Linux] File Descriptor 언젠가 그런 질문을 받은적이 있었다. '프로그래밍을 한다면 당연히 알아야할, File descriptor 에 대하여 물어볼게요.' 당연히 SI 하청 시장에서 길면 3달, 짧으면 한달 주기로 팔려다니며 경력 1년을 갖 만든 당시 나로써는 알 방법이 없었다. 물론 질문을 받고 바로 다음날 찾아보았다. 그러나 이해가 가지 않는 것은 당연했다. 그로부터 대략 1년이 넘게 지났다. 만일 내가 아직도 그 시장속에 있었다면 알 수 없었을 파일 디스크립터에 대해 이제는 설명은 못해도 그게 뭔지는 느낌이 온다고 할 수 있다. 문득 그 분이 얼마나 중요한 내용을 짚어 주셨나 감회가 새롭다. 1. 기본 이론 1) File descriptor 의 정의 우선 위키피디아의 설명을 좀 읽어 보도록 하자. https://en.wik.. 더보기
[Linux] crontab 을 이용한 자동 재부팅, 배치 작업 등록하기 이번 의뢰에서 리눅스의 자동 재부팅을 요청받았다. 리눅스에서 배치 작업을 등록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 리눅스에서 자동적으로 쉘 스크립트나 프로그램 명령을 등록하는데 가장 자주 사용되는 것이 crontab이다. 참고 링크를 확인해 보면, 쉘 스크립트 + crontab을 활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의 내용은 crontab의 명령 옵션을 표기한다. 수정, 조회, 삭제가 기본이고 추가로 몇 가지 옵션이 더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수정하고 조회 정도면 충분하다. 1. 작업 리스트 조회 - 먼저 내가 추가하려는 배치가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원하는 작업이 이미 존재한다면, 이중작업이 되거나 프로그램 오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1) 명령 사용방법 crontab [-u user] -l 우선 -u 옵션은 접근 가.. 더보기

반응형